▲ 부산시청
[뉴스노크=김인호 기자] 부산시는 내년(2026년) 3월 27일 '의료·요양 등 지역 돌봄의 통합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에 대비해, '부산형 돌봄통합추진단'을 공식 출범한다고 밝혔다.
추진단은 '돌봄통합지원법' 시행 이전에 선제적으로 부서 간 협력체계를 강화하고, 돌봄·의료·요양·주거 서비스의 통합적 연계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출범한다.
추진단은 시 행정부시장이 단장을, 사회복지국장이 부단장을 맡는다.
복지정책과·노인복지과·장애인복지과·건강정책과·보건위생과·주택정책과 등 총 6개 반 21개 팀으로 구성되며, 각 반은 분야별 돌봄서비스 발굴, 연계 방안 마련, 관련 기관 협력체계 구축 등의 역할을 한다.
추진단은 '돌봄통합지원법' 시행에 따른 시 차원의 준비를 체계적으로 하기 위해 법 시행 전까지 3차례 정기 회의를 개최하고, 세부 과제 수행을 위한 실무협의체를 운영할 계획이다.
정기 회의에서는 ▲추진단 역할 공유 및 주요 과제 점검 ▲부서별 서비스 발굴·연계 및 협력방안 논의 ▲최종 점검 및 협력체계 구축현황 논의 등을 할 예정이다.
또한, 반별 담당 주무관으로 구성된 실무협의체를 상시 운영해 돌봄서비스 목록 작성, 기관 간 협력 강화, 서비스 연계 방안 구체화 등 실질적 실행력을 확보할 방침이다.
시는 추진단 운영과 병행해, 오늘(23일) 오후 8시 부산사회서비스원에서 '시(市)-구·군-장기요양재택의료센터 협력회의'를 개최한다.
이번 협력회의에는 시와 16개 구·군의 담당 팀장·주무관, 장기요양재택의료센터 기관장 등 40여 명이 참석한다.
회의에서는 ▲'돌봄통합지원법' 시행에 따른 정책 방향을 공유하고, ▲‘15분 방문의료지원센터’ 추진 현황 ▲돌봄서비스와 방문진료서비스 연계·활성화 방안 ▲통합지원협의체 운영 및 의료·돌봄 통합 홍보 전략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시는 이번 협력회의를 통해 지역의료기관과 지자체 간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현장 중심의 통합돌봄서비스 연계 기반을 강화할 계획이다.
시는 이번 추진단 출범과 협력회의를 통해 '시민이 살던 곳에서 존엄한 삶을 누리는 부산형 돌봄통합지원체계'를 본격적으로 구축할 계획이다.
특히 초고령사회 진입, 1인 가구 증가 등 사회 변화에 대응해 돌봄이 필요한 시민을 대상으로 의료·요양·주거·건강관리 전반을 통합 지원하는 선도 모델을 만들어갈 예정이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 통합돌봄 조례 개정, 전담조직 강화, 협력체계 구축 등 제도적 기반 마련에도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또한 구·군의 조례제정, 전담인력 확보, 통합지원협의체 구성 등 준비 사항을 점검·지원해 올해 12월까지 부산형 돌봄통합지원체계의 기반 조성을 완료할 계획이다.
이준승 시 행정부시장은 “부산형 돌봄통합추진단은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통합돌봄서비스의 출발점”이라며, “또한, 이번 시(市)-구·군-장기요양재택의료센터 협력회의를 통해 의료·돌봄 간의 연결고리를 더욱 강화해 부산이 전국 통합돌봄 정책의 선도 도시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전했다.
[ⓒ 뉴스노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