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수훈 광주광역시의원, “AI 2단계 사업, 연구·기술인력 배불리기 위한 계획 전면 재검토해야”

“6,000억 AX실증밸리 예산, 연구개발만이 아닌 시민의 삶으로 이어져야”

김인호 기자

land8238@naver.com | 2025-11-07 20:20:17

▲ 강수훈 의원(더불어민주당·서구1)
[뉴스노크=김인호 기자] 광주광역시가 약 6,000억 원 규모의 ‘AX 실증밸리 조성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정작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생활 속 AI’ 구현보다는 기술개발 중심으로 치우친 구조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광주시의회 강수훈 의원(더불어민주당·서구1)은 7일 열린 산업건설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사업 규모 6,000억 원 중 대부분이 R&D에 집중되어 특정 연구기관과 기술인력만 배불리는 구조로 설계된 계획서를 보고 참담했다”며, “지난달까지 광주를 믿고 업무협약한 AI 기업이 이미 337곳에 달하는데, 광주의 비전을 신뢰한 기업들이 느낄 허탈감이 얼마나 크겠느냐”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연구개발 단계에서도 일부는 상용화 단계에 있는 기술로, 시장 상품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며, “당초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모두의 AI’에 예산을 투입하려 했으나 중앙부처와의 협의 과정에서 반영이 쉽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강 의원은 또한 최근 국가 AI컴퓨팅센터 유치 실패와 관련해 “이미 예견된 결과였다”고 꼬집었다.

그는 “센터 부지로 광주가 배제되기 두 달 전에 전력과 용수 수급계획에 대한 자료를 요구했지만 시로부터 ‘자료 없음’이라는 답변을 받았다”며, “이는 행정이 얼마나 준비 없이 프로젝트를 추진했는지를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라고 비판했다.

강 의원은 “국가 AI컴퓨팅센터 유치 실패는 단순한 경쟁의 패배가 아니라, 준비 부족이 불러온 예견된 결과”라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강 의원은 “이제라도 유치 실패의 원인을 시민에게 투명하게 공개하고, 국가급 AI 인프라 재도전에 대비한 종합적 대책과 행정체질 개선이 필요하다”며, “AI 중심도시 광주가 구호에 그치지 않고 실질적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시정 전반을 철저히 재점검해야 한다”고 밝혔다.

[ⓒ 뉴스노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