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사물주소판 사진 | 
[뉴스노크=김인호 기자] 전라남도는 도민 생활 편의와 안전 확보를 위해 사물주소판 1천299개를 신규 설치하고, 야외 시설물에도 정확한 위치를 부여하는 등 체계적 관리 방안을 마련해 위치 찾기 편의성을 높일 방침이다.
‘사물주소’는 건물이 없는 시설물에 고유 주소를 부여하는 제도다.
긴급 상황 시 소방, 경찰 등 구조기관에 정확한 위치 전달이 가능해 신속한 대응과 구조에 도움을 주고 있다.
현재 사물주소는 주소정보누리집에서 누구나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인터넷 지도 회사의 위치정보 제공 요청 시 바로 제공하고, 앞으로 티맵, 카카오맵 등과 같은 위치알림 서비스 기업과 연계해 접근성과 활용도를 높이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전남도는 2018년부터 지금까지 도민 이용이 잦은 무더위쉼터, 전기차 충전소, 버스나 택시 승강장 등 공공시설 총 23종 2만 4천20개에 사물주소를 부여하고, 1만여 개의 사물주소판을 설치했다.
앞으로도 안전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지속해서 확충할 계획이다.
올해는 자동심장충격기(AED)와 무인민원발급기, 어린이보호 CCTV 등 총 6종 6천14개 시설에 사물주소를 추가 부여할 계획으로, 교통·안전·복지 등 다양한 생활밀착형 행정서비스 기반을 마련할 예정이다.
전남도는 ‘여순사건법’으로 추진 중인 여순사건 인식 개선과 희생자 명예회복을 위해 133개 역사 유산에 사물주소를 부여하고 전남도 공간정보 플랫폼에 탑재한 웹서비스를 구축했다.
그 결과 2025년 상반기 적극행정 경진대회에서 우수사례로 선정됐다.
김승채 전남도 토지관리과장은 “사물주소판은 야외 공간에서도 각종 사물의 위치정보를 정확히 알릴도록 도와주는 필수 안전장치”라며 “사물주소 부여 대상을 발굴하고 확대해 촘촘한 안전망을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 뉴스노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