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축제 .행사 안전관리시스템 패러다임 전환

전라 / 김인호 기자 / 2023-01-05 14:20:52
▲ 전라남도경찰청

[뉴스노크=김인호 기자] 인파 행사 등 행정안전부는 ‘2021년 지역축제장 안전관리 매뉴얼’ 지역축제 기획 단계부터 축제 시작 전, 진행 중, 사고 발생시 등을 분류해 축제 개최자, 지방자치단체, 경찰, 소방 등의 역할을 정해놓고 있다.

그러나 1)‘이태원 참사’ 같은 주최 측이 명확하지 않은 행사, 2) 세부 지역축제 심의 대상이 아닌 지역행사 등은 축제의 안전관리 매뉴얼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바로 작년 10. 29. 핼러윈 축제의 안전관리 부실 대응이 그 예이다.

핼러윈 축제의 부실 대응으로 수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했다. 앞으로 다가올 인파(人波)가 운집하는 지역축제 ‧ 행사에 따른 안전관리 대책에 대한 반성과 대안 등 생각을 다듬어 볼 필요성이 있다.

다행히'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제11조(지역위원회)에는 해당 지역에 대한 재난 및 안전관리정책에 관한 사항으로 지역마다 시‧군‧구에 지역 안전 관리위원회가 운영되고 있으며, 지역축제 안전관리계획에 대한 심의 등 시스템화 되어 있다.

관할 지자체는 재난 관리부서, 축제 개최자 등과 협의해 안전관리계획을 심의하고 지역 안전관리 민간협력위원회를 구성, 행사장에 대한 합동지도, 점검 계획을 수립해야 하며, 특히 이 과정에서 1) 심의 대상이 아닌 지역축제라도 지역축제 담당 부서가 요청한 경우 반드시 축제 개최자와 협의 후 합동 지도‧점검을(지자체장은 위험성이 높다고 판단시 합동지도 점검해야 한다) 할 수 있다. 그러나 2) 심의 대상이 아닌 축제는 안전관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이와 관련 관할 지자체는 지역마다 지역축제장 안전 관리시스템(안전관리 매뉴얼) 패러다임을 전환 ‧ 구축하여 다가오는 각 소규모 지역축제 등 국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안전사고 제로(ZERO)화 축제를 만들어가길 희망해 본다.

[ⓒ 뉴스노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많이 본 기사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