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의회 박수기 의원, AI 모빌리티 선도 도시 우선 과제로 기아차 국가산단 이전 제안

전라 / 김인호 기자 / 2025-11-26 14:55:05
26일 5분 자유발언, “내연차 라인 교체 필요한 지금이 AI 스마트 팩토리 신축의 ‘골든타임’”
▲ 박수기 의원

[뉴스노크=김인호 기자] 광주가 진정한 AI 모빌리티 국가시범도시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기아차 광주공장의 미래차 국가산단 이전이 필수적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광주광역시의회 박수기 의원(광산구 수완·하남·임곡)은 26일 열린 본회의 5분 자유발언을 통해 광주가 'AI 미래 모빌리티 선도 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선결 과제로 '기아차 광주공장의 미래차 국가산단 이전'을 제안하고, 내연기관 설비 교체가 시급한 현시점을 AI 스마트 팩토리 전환의 '골든타임'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박수기 의원은 “광주는 현재 미래차 국가산단과 AI 모빌리티 국가시범도시 조성이 한창이며, 국가 AI 데이터센터 등 첨단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고 전제한 뒤, “하지만 정작 이 거대한 그릇을 채울 앵커기업이 부재한 역설적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산업단지는 단순한 공장 부지가 아닌 혁신의 생태계”라며 “앵커기업이 있어야 부품사와 연구소, 인재가 모인다”고 강조하며 기아차 이전의 당위성을 설명했다.

특히 박 의원은 지금이 기아차 이전의 ‘골든타임’임을 강조했다. 그는 “지역 제조업 매출의 38%를 책임지는 기아차 광주공장이지만, 현재의 내연기관 중심 노후 공정으로는 미래차 전환에 한계가 있어 대대적인 설비 투자가 불가피한 시점”이라며 “기존 공장을 개조하는 대신 미래차 국가산단에 AI 기반 스마트 팩토리를 신축하는 것이 기아차와 광주 모두에게 최선의 선택”이라고 주장했다.

가장 큰 걸림돌인 ‘천문학적 이전 비용’에 대해서는 현 광천동 부지 활용을 해법으로 제시했다. 박 의원은 “도심 한복판에 위치한 현 부지의 활용 방안을 논의하면 비용 문제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며 “이는 단순한 부동산 개발이 아닌 산업 전환을 위한 재원 마련 방안”이라고 역설했다.

박 의원은 이날 발언을 통해 광주시에 ▲기아차 이전을 AI 미래 모빌리티 산업의 주요 과제로 설정할 것 ▲현 부지 활용 방안에 대한 공식 논의를 시작할 것 ▲광주시-기아차-정부가 참여하는 ‘민·관·정 거버넌스’를 구성할 것을 제안했다.

끝으로 박수기 의원은 “지난 2024년 1월에도 기아차 이전을 제안했으나 1년이 지난 지금까지 앵커기업 유치 논의는 제자리걸음”이라고 꼬집으며, “기아차 이전은 광주가 내연차 시대의 낡은 옷을 벗고 AI 미래 모빌리티 선도 도시로 도약하는 길인 만큼, 광주시는 더 이상 주저하지 말고 민·관·정 거버넌스를 통해 이전 비용과 인센티브 방안을 투명하게 논의해야 한다”고 거듭 촉구했다.

[ⓒ 뉴스노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많이 본 기사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