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이민 외국인 정책포럼 |
[뉴스노크=김인호 기자] 전라남도는 6일까지 이틀간 쏠비치 진도에서 전남 이민·외국인 정책포럼을 열어 지역특화형 비자와 광역형 비자 등 정책을 공유하고 지역 산업의 인력난 완화와 외국인주민의 안정적 정착 실행 해법을 모색했다.
전남 이민·외국인 정책포럼엔 전남도 이민정책과와 농업정책과, 22개 시군 관련 부서, 법무부, 전북 고창군이 참여했다. 또한 이민정책연구원, 지역이민정책개발연구소, 전남연구원, 전남이민외국인종합지원센터, 대불산학융합원, 해남군수산업협동조합 등 이민정책·외국인정책·계절근로 업무 담당자 100여 명이 한자리에 모여 추진 방향을 공유하고 소통했다.
본행사인 정책포럼에서는 광역형 비자 도입 취지와 지역 정착 전략 주제 발표가 진행됐다. 이어 김일수 전남이민외국인종합지원센터장이 좌장을 맡아 조영희 이민정책연구원 연구원, 신선미 지역이민정책개발연구소 대표, 노성호 대불산학융합원 사무국장 등과 함께 지역 기반 이민정책의 실행 해법을 모색하는 패널토론을 펼쳤다.
부대행사로 열린 시군 업무연찬회에서는 김은영 법무부 출입국이민관리체계개선추진단 사무관이 지역특화형 비자와 광역형 비자 등 달라진 제도를 설명했다.
전북 고창군과 해남군 수산업협동조합은 계절근로자 운영 우수사례를 공유하고, 전남연구원이 외국인주민 실태조사 결과를 소개했다. 또한 이민·외국인 분야의 변화된 제도와 2026년 전남도 정책 방향을 함께 점검하며 정책과 현장을 세밀하게 들여다봤다.
전남도는 이번 포럼을 통해 농·수산업 등 지역 주력산업의 인력난 완화와 외국인주민의 안정적 정착·통합을 동시에 추진하고 중앙–지자체–연구기관–현장 간 상시 협력체계를 강화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윤연화 전남도 인구청년이민국장은 “이번 포럼이 새로운 정책 흐름을 공유하고 현장 경험을 연결하는 배움의 장이 되길 바란다”며 “한국 생활이 서툰 외국인 주민의 욕구에 능동적으로 대응해 예비 전남도민으로서 신뢰가 켜켜이 쌓이도록 현장에서 최선을 다해달라”고 말했다. 전남도는 포럼 성과를 외국인 주민 종합대책 지원 부서, 각 시군과 공유해 현장 적용을 확대할 계획이다.
[ⓒ 뉴스노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