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디어에서 앱까지… 하남시 직원들, AI로 행정을 혁신하다 ‘AIdea 하남’ 개최 및 시상

경기 / 김인호 기자 / 2025-10-01 18:25:18
총 17건 제안 중 5건 발표심사 실시 및 최종 순위 결정
▲ 1일 시청 상황실에서 열린 ‘AIdea 하남’ 제안대회에서 금상을 차지한 ‘노코딩 무신고영업 관리 앱 ‘무영이’’ 제안자와 관련 부서원들이 환하게 웃으며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뉴스노크=김인호 기자] 하남시는 1일 시청 상황실에서 열린 생성형 AI 행정활용 제안대회 ‘AIdea 하남’ 발표심사를 통해 최종 수상작 5건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제안대회는 단순한 아이디어 제시를 넘어, 실제 행정업무와 민원서비스 현장에 적용 가능한 실용적 결과물 도출에 초점을 맞췄다. 하남시는 2회 연속 ‘대통령상’을 수상하며 전국 최고 수준의 민원서비스를 입증한 데 이어, 이번 대회를 통해 AI 기반 행정혁신을 본격화했다.

특히 이번 대회는 직원들의 AI 실전 활용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사전 실습 교육을 실시하고, 공모전을 통해 앱 프로토타입까지 직접 제작해보는 실전 중심 구조로 구성됐다는 점에서 타 지자체의 AI 공모전과 차별화돼 의미가 크다.

대회에는 총 17건의 AI기반 행정혁신 아이디어가 접수됐으며, 서면심사(90%)와 직원투표(10%)를 거쳐 선정된 상위 5건이 본선 무대에서 발표됐다. 본선은 국·단장급 심사위원단의 평가와 더불어, 공정한 심사가 될 수 있도록 전 직원이 시청할 수 있는 생중계도 함께 진행됐다.

심사 항목은 ▲제안내용의 창의성(기존 정책과 차별화 여부) ▲실현가능성(예산·인력·법령 등 고려) ▲파급효과(개선효과 및 확산 가능성) ▲생성형 AI 활용 적정성(활용 방식의 구체성·현실성) 등 네 가지였다.
최종 수상작 다섯 건의 아이디어 중 금상은 ‘노코딩 무신고영업 관리 앱 ‘무영이’’가 차지했다.

‘무영이’는 단속 현장과 행정 데이터를 결합해 미신고 업소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앱으로, 이미 현장에서 시범 운영되며 완성도를 인정받았다.
현장 단속과 행정기록을 실시간으로 연동해 단속 효율성과 신뢰성을 높였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은상은 ‘AI 행정도서관’과 ‘하남시 정책허브’가 각각 수상했다.

‘AI 행정도서관’은 행정문서와 정책자료를 AI가 분류·검색·요약해 시민과 직원이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 플랫폼이며, ‘하남시 정책허브’는 타 지자체의 정책사례를 AI로 분석·검색해 정책 기획을 지원하는 시스템으로, 두 제안 모두 제안자가 직접 앱 프로토타입을 구현해 발표 시 시연까지 진행했다.

동상은 ‘AI로 만드는 나만의 뉴스 브리핑 서비스’와 ‘업무 흐름 엔진–마리모(My Little Motivator)’가 각각 수상했다.

‘AI로 만드는 나만의 뉴스 브리핑 서비스’는 AI가 시정 및 정책 관련 데이터를 자동으로 요약·가공해 개인 맞춤형 뉴스로 제공하는 아이디어로, 생성형 AI를 활용해 앱을 직접 구현한 점이 돋보였으며, ‘마리모’는 반복적인 행정업무를 AI 워크플로우로 자동화하는 시스템으로, 발표 단계에서 실제 업무 시뮬레이션을 선보이며 행정의 효율적 변화를 제시했다.

이현재 하남시장은 “AI는 행정 효율성과 시민 만족도를 동시에 높일 수 있는 핵심 도구”라며 “‘AIdea 하남’ 같이 직원 스스로 실험하고 실행하는 시도들을 통해 AI 기반 스마트 행정의 새로운 표준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 뉴스노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많이 본 기사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