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2026년 수도권 공공택지 공공분양 공급계획(안) |
[뉴스노크=김인호 기자] 국토교통부와 4개 공공기관은 ’26년 수도권 공공택지에서 총 2.9만호 규모의 공공분양주택을 순차적으로 공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공급 물량은 새정부 「주택공급 확대방안」(9·7대책)에서 발표한 수치(2.7만호) 대비 약 2천호 증가한 규모로, 판교(2.9만호)급 신도시를 하나 새로 조성한 것에 준하는 수준이다.
특히, 4개 공공기관의 올해 분양 물량(2.2만호)보다 32.2% 증가했고, 최근 5년간 평균 수도권 분양 물량(1.2만호)의 약 2.3배 수준으로, 공공 부문의 착공 확대 노력의 성과가 가시화되며, 공급 확대 국면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내년에 분양될 단지들을 살펴보면, 지역별로는 △서울 1.3천호, △인천 3.6천호, △경기 23.8천호로 분포되어 있고, 주요 지구별로는 △3기 신도시 7.5천호, △2기 신도시 7.9천호, △기타 중소택지 13.2천호의 공공주택이 분양될 예정이다.
3기 신도시에서는 △고양창릉(3,881호), △남양주왕숙(1,868호), △인천계양(1,290호),2기 신도시에서는 △광교(600호), △평택고덕(5,134호), △화성동탄2(473호), 이 외 중소택지에서는 △고덕강일(1,305호), △구리갈매역세권(287호), △검암역세권(1,190호) 등이 공급될 예정이다.
특히, 내년 공급 물량 상당수는 정주 여건이 우수하고,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광역도로망 등 교통 인프라 접근성이 뛰어나고, 직주근접 실현이 가능한 입지가 많아 실수요자의 선호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올해 남은 기간에도 이번 달 남양주왕숙(881호), 군포대야미(1,003호)를 포함해 총 5.1천호가 수도권에서 추가로 분양될 예정이다.입주자 모집 공고 등 자세한 사항은 4개 공공기관별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국토교통부는 LH 직접시행 확대 정책의 일환으로 발표했던 LH 소유의 비주택용지 용도전환 정례화 제도의 첫 발을 내딛는다.
정부는 9·7대책을 통해 장기간 활용되지 않거나 과도하게 계획된 비주택용지의 용도와 기능을 정례적으로 심의하고, 필요시 주택용지로 전환하는 「공공택지 재구조화」 제도 도입을 추진 중이며, 제도 도입 전 우선 추진물량으로 1.5만호 공급계획을 수립한 바 있다.
이날 LH는 우선 추진물량의 28%인 4.1천호 규모의 공공주택 공급을 위해 유보지 등 비주택용지의 용도 조정방안을 담은 관련 계획 변경안을 국토교통부에 제출했다.
조정대상 입지들은 △3기 신도시 남양주왕숙(455호), △2기 신도시 파주운정3(3,200호), △중소택지 수원당수(490호) 등 주요 지구별로 고르게 구성되어 있고, GTX-B, 신분당선 등 광역교통망과 인접해 접근성이 우수하고 주거 입지 적정성이 높은 입지들이라는 점도 특징이다.
각 사업지별 공공주택은 지구계획 승인 등 일련의 절차를 거쳐 순차적으로 공급할 계획이며, 특히 수원당수는 내년 중 주택 착공을 추진할 예정이다.
국토교통부 김규철 주택토지실장은 “9·7대책을 통해 착공 중심의 관리체제로 전환한 성과가 가시화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공공주택 물량이 꾸준히 증가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국민이 선호하는 입지에 양질의 공공주택을 신속히 공급하여 실수요자의 내 집 마련 기회가 지속 확대될 수 있도록, 주요 공공기관들과 긴밀히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 뉴스노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