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득구 의원 , “ 매년 외국인 노동자 2 천명 , 끼임사고 당해 ”

정치 / 김인호 기자 / 2025-10-01 21:10:06
강득구 의원 , “ 외국인 노동자의 산업재해는 후진국형 사고가 다수 … 안전에는 내 / 외국인 구분 없어야 ”
▲ 강득구 국회의원

[뉴스노크=김인호 기자] 강득구 의원 ( 더불어민주당 , 안양만안 ) 은 외국인 노동자 산업재해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끼임사고라고 밝혔다 .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강득구 의원이 고용노동부로부터 받은 ‘ 재해유형별 외국인 노동자 산업재해 현황 ’ 자료에 따르면 , 2020 년부터 2025 년 2 분기까지 외국인 노동자의 산재유형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한 것은 끼임사고였다 . 2020 년 2,011 명 , 2021 년 1,917 명 , 2022 년 1,930 명 , 2023 년 2,086 명 , 2024 년에는 2,143 명이 끼임사고를 당했다 .

더불어 외국인 노동자의 산업재해는 영세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 고용노동부의 ‘ 규모별 외국인 산업재해 현황 ’ 에 따르면 , 2020 년 이후 , 5 명 미만 사업장에서는 매년 2 천명 이상의 이주노동자가 산업재해를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 5 인 이상 49 인 미만 사업장에서도 매년 4 천명 이상의 이주노동자가 산업재해로 죽거나 다쳤다 .

2020 년 이후 , 산업재해 피해를 겪는 외국인 노동자가 약 8 천명 안팎임을 감안하면 대부분의 산업재해가 영세사업장에서 발생하는 것이다 .

강득구 의원은 “ 외국인이든 내국인이든 일하다 다치고 죽지 않아야 하고 , 이주노동자의 산재도 주로 후진국형 사고로 밝혀진 만큼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 ” 며 “ 안전한 일터를 만드는 것을 핵심 과제로 삼은 당정의 의지와 발맞춰 ‘ 산재왕국 끝장 ’ 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 ” 이라고 강조했다 .

[ⓒ 뉴스노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많이 본 기사

SNS